개발을 하면서 XML 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XML 을 로그로 출력하는 경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전문을 맞추는 경우에 XML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오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JDOM 을 사용한다면 XMLOutput 클래스의 포맷에 Pretty 옵션을 설정하면 자동 들여쓰기가 되어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불필요한 데이터를 최소화 하기 위해 줄바꿈 및 기타 공백 구분을 하지 않고 쭈~욱 이어서 전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데이터는 줄어들었지만 잘못된 경우 디버깅이 어렵습니다.
태그 시작과 끝이 정상인가 오타는 없는가 확인하는 작업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일의 효율도 오르지 않습니다. (오타가 있는 경우를 찾는 것은 XML 을 String 형태로 전송하면 상대방에서 String –> DOM 객체로 변환 할 때 예외가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검색을 했더니 역시 툴이 있습니다.
http://symbolclick.com/download.htm
페이지에 가면 최신 버전 및에 이전 버전(바로 다운로드)을 무료로 베포 하고 있습니다.
사용해보니 편하고 좋습니다.
자동 들여쓰기 및 오류 부분도 정확하게 찾습니다.
위의 툴 이외에 개발자가 필요한 유틸을 정리된 걸 퍼왔습니다.[Plz forgive me!]
[참조] http://wizardee.tistory.com/50
전에 개발하면서 http 리퀘스트 테스트나 json, xml 뷰어 등을 사용한 적이 있는데,
그냥 나중에 혹 필요하게 될까 하고 기록차원에서 써 본다.
[WFetch 1.4]
MS 다운로드 센터에서 찾은 HTTP 통신시 헤더나 바디 등을 조작해서 그에 대한 응답을 테스트 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물론, 파이어폭스에 확장팩으로 제공되는 POSTER 같은 것도 있지만, 파이어폭스를 안 쓴지 좀 되서리..
UI는 조금 난잡(?)해 보일 수 있으나 기본 기능에 아주 충실한 유틸이다.
다운로드 : http://www.microsoft.com/download/en/details.aspx?displaylang=en&id=21625
[JSON Viewer]
서버와의 통신시 데이터 포맷을 JSON으로 했었는데, 생성된 데이터 검증시 유용하게 사용했던 유틸~
가볍고 좋긴 한데, 용량이 좀 큰 파일의 경우, 로딩시간이 좀 걸린다는 게 흠~!!
다운로드 : http://jsonviewer.codeplex.com/
[XML Viewer]
XML 파일 뷰어~ 뭐 많고 많은 게 XML 뷰어이겠지만(하다못해 브라우저에서도 보이는..) 요건 엘리먼트별로 구별을 지어 따로 화면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좀더 일목요연하게 데이터를 확인 할 수 있다.
다운로드 : http://www.mitec.cz/
사이트에 접속해 보니 많은 유틸들이 있는데, 요놈만 없다. ㅡㅡ;;; 쿨럭..
벌써 7월 말로 향해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하늘은 잔인하게도 참 맑다.. 쩝..